-
Elasticsearch와 OpenSearch의 차이점DevOps 2025. 3. 25. 08:26728x90
Elasticsearch와 OpenSearch는 둘 다 분산 검색 및 분석 엔진으로, 내부적으로는 Apache Lucene을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그러나 두 프로젝트는 라이선스와 생태계, 개발 주체의 차이로 인해 분리되었습니다.
Elasticsearch는 원래 Elastic사에서 오픈소스로 시작했지만, 2021년 Elastic사가 라이선스를 Apache 2.0 → SSPL(서버 측 퍼블릭 라이선스)로 변경하면서, Amazon을 중심으로 기존 오픈소스 버전(7.10)을 기반으로 OpenSearch라는 포크 프로젝트가 시작됐습니다.
주요 차이점 요약:
항목ElasticsearchOpenSearch개발 주체 Elastic 사 Amazon 중심의 커뮤니티 라이선스 SSPL (비OSI, 오픈소스 아님) Apache 2.0 (진정한 오픈소스) 최초 분기 버전 7.11 이후 독점화 7.10에서 포크됨 Kibana 대체 Kibana OpenSearch Dashboards 기능 Elastic X-Pack 기본 탑재 (보안, 모니터링 등) X-Pack 기능의 오픈소스 구현 제공 클라우드 서비스 Elastic Cloud Amazon OpenSearch Service 추가 설명:
- 라이선스 관점에서 OpenSearch는 Apache 2.0 라이선스를 유지하므로, 클라우드 서비스나 DBaaS 플랫폼에서 자유롭게 수정 및 배포가 가능합니다.
- OpenSearch는 Elastic의 상업적 기능(X-Pack)에 대응하는 기능들(ex: Alerting, Security, Anomaly Detection 등)을 자체적으로 구현하여 운영 환경에서 충분히 대체 가능한 오픈소스 대안입니다.
- Elasticsearch 생태계는 Elastic사의 통제 하에 있는 반면, OpenSearch는 Amazon, RedHat, Logz.io, SAP 등이 참여하는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728x90'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bots.txt 개념 (0) 2025.03.26 Elasticsearch의 클러스터, 노드, 샤드, 리플리카의 개념 (0) 2025.03.25 DATABASE에서 쿼리가 수행되는 전체 과정 (0) 2025.03.25 ElasticSearch vs. OpenSearch (0) 2025.03.23 HA Proxy와 Nginx 비교 (0) 202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