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Coding Interview
-
Graph 문제 풀이시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 과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 사용 장단점Coding Interview 2025. 3. 29. 21:08
1.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정의:정점의 수가 V일 때, V×V 크기의 2차원 배열을 사용하여 간선의 존재 유무 또는 가중치를 표시합니다.장점간선 존재 여부 확인이 빠름: O(1) 시간 복잡도로 graph[u][v]를 통해 즉시 확인 가능.구현이 간단하고 직관적: 특히 가중치가 있는 그래프에서 직관적으로 표현 가능.무방향 그래프에서는 대칭 행렬로 표현할 수 있어 깔끔함.단점공간 복잡도가 높음: 간선 수가 적은 희소 그래프(sparse graph)에서는 메모리 낭비가 큼. 공간 복잡도는 O(V^2).모든 인접 노드를 탐색할 때 비효율적: 연결 여부가 0이더라도 모든 노드를 순회해야 해서 O(V) 시간 소요.활용 사례정점 수가 작고 간선 수가 많은 조밀한 그래프(Dense Graph).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