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il 줄이기 전략DevOps 2025. 5. 20. 12:23728x90
Toil 줄이기 전략 5가지
전략 설명 1. 관측 가능성 향상 (Observability First) 알람, 로그, 지표, 분산 추적 등을 먼저 체계화해 장애 원인 분석을 쉽게 만듦 2. 작업 표준화 → 자동화 반복 작업을 문서화하고, 스크립트나 워크플로로 전환 3. 셀프 서비스화 티켓 기반 수동 작업을 개발자/운영자가 직접 처리할 수 있는 포털이나 CLI 제공 4. GitOps 도입 인프라/설정 변경을 코드 기반으로 관리하여 수동 운영 제거 5. Toil 계량 및 주간 점검 각 작업 시간을 기록하고, 일정 비율 이상 Toil일 경우 리팩터링 계획 수립 실무 자동화 사례
1. 서비스 배포 자동화
Before After Jenkins에서 수동 빌드 + 수동 승인 후 배포 Git push → CI/CD 파이프라인 → 배포 자동 진행 운영자는 배포 중 서비스 다운 여부 모니터링 배포 후 health check 실패 시 자동 롤백 → 사용 도구: ArgoCD, Spinnaker, GitHub Actions + Terraform/Helm
2. 온콜 대응 자동화
Before After PagerDuty 알람 후 수동 로그인해서 서비스 재시작 특정 알람 발생 시 자동으로 restart 수행 (e.g. systemctl restart) 반복되는 알람을 사람이 계속 확인 알람 노이즈 제거: SLO 기반 알람, rate-limit 적용, 진짜 문제만 알림 발생 → 사용 도구: Alertmanager, Runbook Automation (StackStorm, Rundeck), Lambda
3. 계정/리소스 생성 자동화 (셀프서비스)
Before After 신규 IAM 사용자 요청시 수동 처리 내부 포털에서 사용자 직접 요청 → 승인 후 자동 생성 Kubernetes namespace 요청도 수작업 Slack bot 또는 Web UI로 요청 → Terraform으로 자동 생성 → 사용 도구: Backstage, Terraform + Atlantis, AWS Service Catalog, GitHub issue + Actions
4. 지표 기반 재시작 / 스케일링 자동화
Before After 메모리 부족 시 수동 확인 후 수동 재시작 Prometheus + KEDA로 메모리 기준 autoscale 노드 디스크 부족 시 알람만 자동 pod eviction + 노드 drain & replacement → 사용 도구: Prometheus, Grafana Alerting, KEDA, Cluster Autoscaler
5. Postmortem 템플릿 자동화
- 장애 발생 → 알람 → PagerDuty or Slack bot이 Incident 문서 자동 생성
- SLA/SLO 위반 시 자동 Slack 리마인더 및 postmortem 템플릿 발행
- 예산 초과 시 주간 회의에 요약 포함
→ 사용 도구: Blameless, JIRA API, Confluence + Slack Workflow, Incident.io
728x90'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RE 컨택스트에서 Toil의 정의 (0) 2025.05.20 SLO (0) 2025.05.20 Platform Engineering 이란 (0) 2025.04.03 NLB의 Proxy Protocol (0) 2025.03.27 robots.txt 개념 (0)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