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이커머스 플랫폼을 위한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를 설계해보세요.
    Interview 2025. 3. 16. 23:46
    728x90

     

    "이커머스 시스템의 확장성을 보장하기 위해 API Gateway + 마이크로서비스 + NoSQL/캐싱을 활용하여 부하를 분산하고, Auto Scaling 및 로드 밸런싱을 통해 트래픽 폭주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합니다."

     

     

    이커머스 플랫폼을 위한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를 설계해보세요.
    -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요?
    - 트래픽이 급증하는 이벤트(예: 블랙프라이데이)에서 시스템이 버티도록 설계하는 방법을 설명해주세요.

     

    아마존과 같은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이커머스 플랫폼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확장성(Scalability), 장애 대응(Resilience)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3-Tier 아키텍처 + 마이크로서비스 + 이벤트 기반 시스템을 조합한 확장 가능한 구조를 설계하겠습니다.

     

    1️⃣ 아키텍처 개요

    이커머스 시스템의 주요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PI Gateway & Load Balancer → 사용자 요청을 최적의 서버로 분배
    2. Web & Mobile App → 프론트엔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3. Application Layer (Microservices) → 제품, 결제, 주문, 사용자 관리 서비스
    4. Database & Storage Layer → 주문, 상품 정보, 트랜잭션 데이터 저장
    5. Caching Layer (Redis, CDN) → 속도 최적화 및 트래픽 부담 감소
    6. Event-Driven Architecture (Kafka, SQS) → 대량 트래픽을 분산 처리

    🔹 전체 아키텍처 구성도

    User → CDN → API Gateway → Load Balancer → Microservices → DB + Cache
                         ↓               ↓              ↓
                       Async Queue  Caching (Redis)   Event Processing

     

     

    2️⃣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확장성 전략

    (1) 트래픽 부하 분산 (Load Balancing)

    • Global Load Balancer (GLB) + API Gateway (AWS ALB, Nginx, Envoy) 사용
    • Region-based Routing (GeoDNS)으로 사용자 위치 기반 요청 분산
    • Rate Limiting & Circuit Breaker를 적용하여 트래픽 폭주 방지

    예시:
    "AWS ALB와 API Gateway를 사용하여 사용자 요청을 특정 마이크로서비스로 분산하고, 트래픽이 급증할 경우 Auto Scaling을 통해 서버를 동적으로 확장합니다."

     

     

    (2)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Microservices Architecture)

    • 상품, 주문, 결제, 추천 시스템을 개별 서비스로 분리하여 독립적인 확장 가능
    • 동기식 API + 비동기 이벤트 (Kafka, RabbitMQ)로 부하 분산

    예시:
    "주문 및 결제 서비스는 독립적인 마이크로서비스로 운영되며, 주문 생성은 Kafka 이벤트를 통해 결제 서비스로 전달됩니다."

     

    (3) 데이터베이스 확장 (Database Scalability)

    • Read-Heavy 트래픽 최적화 → Read Replica (MySQL, PostgreSQL, Aurora)
    • Write-Heavy 트래픽 최적화 → Sharding (Order DB, User DB 분리)
    • NoSQL 활용 (DynamoDB, Cassandra) → 비정형 데이터 처리

    예시:
    "주문 트랜잭션은 MySQL Primary-Replica 구조로 운영하며, 읽기 요청은 Replica로 분산하고, DynamoDB를 활용하여 빠른 검색 성능을 유지합니다."

     

    (4) 캐싱 및 CDN 최적화

    • Redis / Memcached → API 응답 속도 향상
    • CloudFront / Akamai CDN → 정적 컨텐츠 (이미지, JS, CSS) 로드 속도 개선

    예시:
    "자주 조회되는 상품 목록을 Redis에 캐싱하여 DB 부하를 줄이고, CDN을 통해 정적 리소스를 빠르게 서빙합니다."

     

    (5) 트래픽 급증 대비 Auto Scaling

    • Horizontal Auto Scaling (EC2, Kubernetes HPA) → 인스턴스 자동 증가
    • Queue-based Scaling (Kafka, SQS) → 백엔드 서비스의 부하 분산

    예시:
    "블랙프라이데이와 같은 트래픽 급증 시, 주문 서비스는 메시지 큐를 통해 작업을 비동기적으로 처리하고, Auto Scaling을 사용하여 트래픽에 따라 동적으로 확장됩니다."

     

    3️⃣ 트래픽 급증 이벤트 대응 (Black Friday)

    (1) 트래픽 급증 대비 사전 준비

    로드 테스트 (Load Testing)

    • JMeter, Locust, k6을 활용하여 미리 부하 테스트 수행
      캐싱 최적화
    • 인기 상품 및 추천 리스트는 Redis & CDN을 활용하여 DB 부하 감소
      오토스케일링 설정 최적화
    • Auto Scaling Group (ASG) / Kubernetes HPA 사전 설정

    예시:
    "프로모션 시작 전, JMeter로 API 요청 부하 테스트를 진행하고, Redis 캐싱을 활용하여 DB 쿼리를 최소화합니다."

     

    (2) 실시간 트래픽 모니터링 및 대응

    실시간 모니터링

    • Prometheus + Grafana로 트래픽 상태 모니터링
    • AWS CloudWatch, Datadog을 활용하여 성능 지표 추적
      비상 대응 (Incident Response)
    • 트래픽 폭주 시 Rate Limiting 적용하여 서버 과부하 방지
    • 장애 발생 시 Failover (멀티 리전, Blue-Green Deployment) 적용

    예시:
    "트래픽 급증이 예상되는 시간대에는 Grafana 대시보드에서 CPU, 메모리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필요할 경우 인스턴스를 추가로 확장합니다."

     

    4️⃣ 장애 복구 및 복원력 (Resilience & Disaster Recovery)

    Multi-Region Deployment

    • 장애 발생 시 자동 Failover를 위한 멀티 리전 아키텍처 적용
      데이터 백업 & 복구 전략
    • Point-in-Time Recovery (PITR) 설정하여 데이터 복구 가능

    예시:
    "주문 서비스는 Multi-Region으로 운영되며, 한 리전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다른 리전으로 트래픽이 전환됩니다."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