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E의 핵심 원칙과 DevOps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Interview 2025. 3. 11. 10:46728x90
SRE와 DevOps는 목표는 유사하지만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SRE는 Reliability(신뢰성)를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 원칙이며, SLI/SLO/SLA와 같은 측정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Error Budget을 통해 기능 배포와 안정성 간 균형을 조절합니다.
또한, Toil(반복적인 수작업)을 자동화하여 운영 비용을 줄이고, Infrastructure as Code 및 Monitoring 시스템을 활용해 장애를 감지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면, DevOps는 개발과 운영 팀 간의 협업을 증진하고 CI/CD, 배포 자동화 등의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데 집중합니다.
결국 SRE는 DevOps의 원칙을 엔지니어링적인 방식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하며, 운영을 코드로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SRE vs DevOps: 차이점 비교
구분SREDevOps
목적 시스템의 신뢰성(Reliability) 극대화 개발과 운영 팀 간 협업 및 프로세스 개선 주요 초점 가용성, 성능, 확장성, 자동화, 모니터링 CI/CD, 배포 자동화, 협업 문화, 지속적 개선 측정 방식 SLI/SLO/SLA, Error Budget 활용 배포 빈도, 변경 실패율, 평균 복구 시간(MTTR) 등 자동화 목표 Toil(반복 업무) 제거, 장애 감지 및 대응 자동화 CI/CD 파이프라인 자동화, IaC 등 업무 비중 개발 50% + 운영 50% (SWE처럼 코드 개발) 개발 50% + 운영 50% (운영 문화 개선) 팀 구조 개발팀과 협력하지만 독립적인 SRE 팀이 존재 개발팀과 운영팀이 하나의 팀으로 협업 실무 사례 장애 대응, Capacity Planning, Observability 개선 배포 자동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도입 728x90'Inter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시간으로 서버 장애를 감지하기 위해 어떤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것인가요? (0) 2025.03.16 프로덕션에서 장애가 발생했다면, 어떤 단계로 접근할 것인가요? (0) 2025.03.16 파이썬 알고리즘 코딩시 유용한 팁 #1 (0) 2025.03.15 Amazon 코딩 인터뷰 준비 문제 30개 (1) 2025.03.15 SLI, SLO, SLA의 차이점은? (0)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