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SLI, SLO, SLA의 차이점은?
DevOps Engineer
2025. 3. 11. 20:20
728x90
SLI, SLO, SLA의 차이점
개념설명예제
SLI (Service Level Indicator) | 서비스의 신뢰성을 측정하는 실제 메트릭(지표) | "응답 시간이 200ms 이하인 요청 비율" |
SLO (Service Level Objective) | 내부적으로 설정한 목표 (Threshold) | "응답 시간이 200ms 이하인 요청을 99.9% 유지" |
SLA (Service Level Agreement) | 고객과 계약한 서비스 보장 수준 (이를 어기면 페널티) | "99.9% 가용성 미달 시 크레딧 보상" |
1. Service Level Indicator (SLI) –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지표
SLI는 시스템의 성능과 가용성을 측정하는 객관적인 메트릭으로, SLI를 통해 시스템의 실제 상태를 수치화할 수 있습니다.
📌 SLI 예시
- Latency (지연 시간): 응답 시간이 200ms 이하인 요청의 비율
- Availability (가용성): 정상적으로 처리된 요청 수 / 총 요청 수
- Error Rate (에러율): HTTP 500 에러 응답 수 / 전체 요청 수
- Throughput (처리량): 초당 처리 가능한 요청 수
- Durability (데이터 안정성): 손실 없이 저장된 데이터 비율
➡️ SLI는 현재 서비스 상태를 측정하는 실시간 데이터 기반 지표
2. Service Level Objective (SLO) – 내부 목표 값
SLO는 내부적으로 설정하는 서비스 목표 기준(Threshold) 으로,
이 목표를 초과하면 신뢰성이 낮아졌다고 판단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SLO 예시
- "서비스의 응답 시간 200ms 이하 비율을 99.9% 이상 유지"
- "99.95% 가용성을 유지"
- "에러율을 0.01% 미만으로 유지"
➡️ SLO는 SLA보다 엄격한 목표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Error Budget과 연결되어 서비스 배포 속도를 조절하는 기준이 됨.
🔹 3. Service Level Agreement (SLA) – 고객과 맺는 계약
SLA는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과 약속하는 서비스 품질 보장 수준으로
만약 SLA를 충족하지 못하면, 서비스 제공자는 페널티(예: 크레딧 보상)를 제공해야 합니다.
📌 SLA 예시
- "99.9% 이상의 가용성을 보장하며, 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서비스 크레딧을 제공한다."
- "데이터 저장의 안정성을 99.9999999% (9-nines) 보장한다."
- "응답 시간이 500ms를 초과하면 고객에게 10% 요금 할인 제공."
➡️ SLA는 법적 효력이 있는 계약 조건이므로, SLO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임
🔹 SLI, SLO, SLA의 관계
이해하기 쉽게 비유하자면:
1️⃣ SLI는 현재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
2️⃣ SLO는 내부 목표 (SLA보다 엄격하게 설정)
3️⃣ SLA는 고객과의 약속 (미달 시 페널티)
🚗 자동차 예시로 보면:
- SLI: "현재 속도가 100km/h" (측정값)
- SLO: "제한 속도를 120km/h 이하로 유지" (목표값)
- SLA: "130km/h 이상으로 달리면 벌금을 부과" (계약 및 페널티)
728x90